안동에는 양반가들이 모여살던 고택과 마을들이 참 많습니다. 그 중에서 일제시대의 아픔을 간직하고 있는 '임청각(臨淸閣, 보물 제182호)'으로 가 보도록 하겠습니다. 이곳은 중종 14년(1519년)에 형조좌랑을 지내셨던 고성이씨 '이명(李洺)'이 만드셨던 집인데요, 원래 99칸의 아주 큰 대궐같은 기와집이였지만 지금은 70여 칸만 남아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가장 오래된 민가 중 하나인 이 집은 독립운동가이시며 대한민국 임시정부 초대 국무령을 지내셨던 석주 '이상룡(1858-1932)'의 생가고요, 이선생의 아들과 손자까지 삼대에 걸쳐 독립유공자를 배출한 유서 깊은 곳이랍니다. 혹시 숙박을 원하신다면 여기서 고택체험으로 숙박이 가능합니다. 참고하세요. 자 안으로 들어가 보겠습니다.
이곳은 원래 천여평의 땅 위에 올려진 99칸의 기와집이였습니다. 집 앞으로는 낙동강이 흐르고, 강 옆으로 나있는 백사장과 앞산은 한폭의 그림 같습니다. 집 뒤로는 영남산이 자리잡고 있어 전형적인 배산임수 남향 집인데요, 도연명의 귀거래사(歸去來辭)에서 '동쪽 언덕에 올라 긴 휘파람 불고, 맑은 물가에서 시를 짓는다'는 구절을 인용해 '임청(臨淸)'이라고 이름을 붙였습니다. 근데 왜 99칸일까요? 100칸 채우면 되지 않을까요? ㅎㅎㅎ 조선의 경국대전에 보면 왕실이 아닌 일반 사대부가에서는 99칸 밖에 지을 수 없다고 법으로 명시되어 있어서 그렇답니다. 즉, 양반가에서 가장 크게 지을 수 있는 집의 크기는 99칸이란 이야기가 되는거죠. ^^*
그 후로 500년...
임진왜란 때 '선조' 임금을 업고 피난갔던 약봉 서성, 흥선대원군 시절에 개혁의 선봉에 섰던 좌의정 류후조, 그리고 상해 임시정부 초대 국무령을 지내셨던 석주 이상룡 선생을 포함한 아홉 명의 독립운동가가 이 집에서 태어나셨습니다. 특히, 종손이었던 이상룡선생은 일본의 노골적인 침략이 시작되자 자신의 전재산을 쏟아 부으며 항일운동에 뛰어들었습니다. 그는 독립운동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재산을 처분하는 뿐만 아니라 집안의 노비문서를 모두 불태워 노비들을 풀어주고 사당의 신위까지 땅에 묻고 종택을 떠났습니다. 1911년 국권을 상실한 후, 그는 가족을 데리고 만주로 망명했고 만주에서 신흥무관학교를 운영하며 임시정부 초대 국무령에 오르게 됩니다.
주인 잃은 집...
훗날 다시 집으로 돌아온 후손들은 이 집에서 편안히 머물지 못했습니다. 이상룡선생의 아들 이준형씨는 일제의 감시를 피해 안동의 산골로 거처를 옮겼는데 계속되는 일제의 탄압으로 '일제 치하에 사는 것은 수치'라는 유서를 남기고 자결해 버렸습니다. 그리고 일제강점기 때 일본은 중앙선 철로를 놓는다고 철길을 임청각의 가운데로 지나게 만들어서 대문간과 행랑채 등 집을 절반이나 헐어버렸습니다. 이 집은 8.15 해방 이후에도 철도노동자 집단합숙소로 사용되면서 심각하게 훼손이 되었는데요, 몇 번의 수리끝에 그나마 지금의 상태를 갖추게 되었습니다.
이상룡선생이 만주로 망명한 후 버려졌던 이 집은 1920년 새로운 등기제도가 시작되면서 임시로 일가친척 4명에게 등기 이전을 했는데요, 초기 등기자 4명은 지금 모두 돌아가시고 소유권이 그들의 후손 70여명에게 유산으로 상속되어져 있었습니다. 일제의 호적을 거부해서 다시 한국으로 들어오지 못하던 이상룡선생의 유해는 그가 돌아가시고 60년 뒤에야 다시 한국으로 들어올 수 있었습니다. 이렇게 위대한 가문의 독립운동가 후손인 이항증씨는 이렇게 크고 아름다운 집을 놔두고 고아원에서 자라 어렵게 학교를 다녔습니다. 그럼에도 그 집의 뜻과 선조의 정신을 길여 임청각을 국가에 헌납하고자하나 70여명의 승락을 받아야하는 어려운 문제에 직면해 있습니다. 상속받은 그 분들이 무슨 죄가 있겠습니까만은 아무쪼록 볼래 이 집 주인의 뜻을 받들게 되기를 바랍니다.
사랑채 '군자정'
군자정(君子亭)은 정(丁)자 모양으로 지어진 안쪽은 맞배지붕 다른 한쪽은 팔작지붕의 정자입니다.
방과 대청 밖으로는 툇마루를 내어 계자 난간을 둘렀습니다.
내부는 어떻게 생겼을까요?
방들은 'ㅁ' 자 형태로 되어있어 가운데 마당에는 햇빛이 잘 들어옵니다.
비가 오거나 눈이 오는날 정말 운치있겠죠?
눈내린 새벽 대청에 앉아, 김이 모락모락 올라오는 대추생강차 한잔 하고 싶네요.
이곳은 원래 이집의 주인이셨던 석주선생이 태어난 사랑채랍니다.
집을 빙 둘러싸고 있는 담도 예쁘네요.
옛날의 집은 사랑채 문을 열면 대분이 보이도록 설계가 된 집이 많습니다.
방에 앉아 내려다 보면 누가 집으로 들어오는지 휜히 보이겠군요.
"칠삼이, 자네 오는가~"
군자정 옆의 연못, 연지(蓮池)
옛 양반가의 집 뜰에는 연못이 있는 집이 종종 있습니다. 도산서원에도 있었고, 안동 치암고택에도 있었습니다.
연을 가까이에 심어 연못에 핀 연꽃을 바라보면서 군자의 덕을 닦았겠지요?
지금도 임청각 바로 앞으로 중앙선 화물열차가 줄기차게 다닙니다.
석굴암을 엉망으로 개보수한 것도 그렇고 여기도 그렇고 미적감각이라고는 눈꼽 만큼도 없는 일본...
안동여행 중이라면, 또는 계획중이라면 꼭 들러봐야할 곳입니다.
안동 가볼만한 곳으로 추천드립니다.
<찾아가는길>
✔ 댓글이 개 있습니다.